전체 글 (57) 썸네일형 리스트형 공망 공망(空亡) 오늘은 공망(空亡)에 대해서 공부해 보겠습니다. 공망도 학파마다 사용 여부가 많이 나뉘는 신살 중에 하나입니다. 공망을 아예 인정하지 않는 학파도 있고 일부만 채용해서 쓰는 학파도 있습니다. 저도 공망을 사용하고 있지만 다른 신살과 마찬가지로 직업을 볼 때 주로 사용하거나 아주 디테일하게 통변할 때만 사용하고 있습니다. 공망은 다른 신살에 비해 이론적으로 굉장히 많은 분량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각 학파마다 사용하는 이론과 범위가 다릅니다. 이번 입문 과정에서는 공망을 사용하는 학파 중 대부분 학파에서 공통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내용을 중심으로 실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공부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공망을 통변할 때에는 오행, 십성, 근묘화실, 형충회합 등 이전에 배.. 내 사주는 신강인가? 신약인가? 사주명리학을 처음 접하시거나 기초가 약하신 분들도 자신의 사주를 간단하게 풀이할 수 있는 방법을 알아 봅니다. 가장 기본적인 사주원국의 신강, 신약을 구분하고 용희신을 정한 다음, 세운이나 월운 등의 길흉을 판단하는 방법 정도를 터득할 수 있으리라 봅니다. .일간의 세력 일간은 사주팔자의 주인공인 명주 자신을 의미하며, 사주팔자 8자 중에 가장 중요한 글자입니다. 명리학에서 명주의 운명은 바로 일간의 길흉에 따라 결정된다고 보시면됩니다. 따라서, 일간의 세력을 판단하는 것은 운세의 길흉을 판단하는 첫단계입니다. 위 그림에서 좌측 부분의 그림이 오행의 상생과 상극에 대한 구조도입니다. 목오행을 기준으로 본다면 같은 목오행이 비견이나 겁재가 되고, 목오행을 생조하는 수오행이 편인과 정인으로 인성이라고도 합니.. 丙丁(병정)과 육신 * 丙의 의미(명 내에 병화가 있다는 것은) 주다.댓가를 바라지 않는다. 언제나 그곳에 있다. 한을 해결하고 모든것을 순환케 하다. 丙가 지나치면 오지랖이 되니 시작은 있고 끝은 없다. 丙는 한결같으며 타고난 책임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丙는 가리지 않는다. 빈부나 신분을 가리지 않는다.(태양이잖아) 잘잘못도 따지지 않으며 그래서 기분파이기도 하다. 나의 의사와 관계없이 내가 보살피고 끌어가야 한다. 손해를 감수할 수 밖에 없다. 병화있는 사람 반드시 주변에 사람이 모이게 되어 있다.(태양이니까) 병화를 잘 활용하려면 그에게 역할을 주어야 한다. 병화 있는 자 어디를 가도 자기 밥값은 한다. 병화는 木이 왕해지는것을 제일 부담스러워 한다(책임을 많이 져야해서 과중 과로가 되니까) 병화가 두개 있는 자의.. 이전 1 ··· 9 10 11 12 13 14 15 ··· 19 다음